한양조씨의 항렬
한양조씨 기록line
Home - 한양조씨 기록 - 한양조씨의 역사 - 한양조씨의 항렬
항렬이란 같은 씨족 안에서 상하의 차례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만든 서열로 시조로부터의
세수(世數)를 나타낸 것이며 정해진 글자로 각 항렬을 나타낸 것을 항렬자(行列字)라 한다.
시조로부터 세수가 같은 사람을 형제 또는 동항(同行)이라 하고 동항의 바로 위 항렬을 숙항
(叔行), 그 위를 조항(祖行)이라 한다. 자기 항렬의 바로 아래는 질항(姪行), 그 아래는 손항(孫
行)이 된다. 이런 관계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조상을 갖는 혈족이 통일된 대동항렬자
를 또는 각 파에서 각기 정한 항렬자를 쓰기도 한다.
한양 조씨의 항렬자는, 전에는 소파별(小派別)로 써 오다가 1849년 기유보(己酉譜) 발간 시 비
로소 처음 정하였는데 판도공파는 21세부터 36세까지 오행상생(五行相生)의 원리에 따르고,
총관공파는 22세부터 31세까지 천간순(天干順)으로 정하였다. 1934년 갑술보(甲戌譜)에서는
32세부터 43세까지 지지순(地支順)으로 추가하였는 바, 한양조씨의 대동항렬과 병참공파의
종인들이 따라야 할 항렬자(총관공파)를 도표로 보면 다음과 같다.
판도공파 | 총관공파 | |||||||
구분 | 세 | 항렬자 | 구분 | 세 | 항렬자 | 구분 | 세 | 항렬자 |
五
行
行
列 짝 수 字 가 下 | 21 | 天 鉉 |
| 21 | 敎 植 廷 | 五
行
行
列 | 21 | 彦 養 |
22 | 善 源 | 天 干 行 列 짝 수 字 가 上 | 22 | 鍾 載 | 22 | 秉 淵 | ||
23 | 泰 柄 | 23 | 元 允 | 23 | 容 榮 | |||
24 | 東 熙 煥 | 24 | 炳 昺 | 24 | 基 煥 | |||
25 | 容 奎 在 | 25 | 行 衡 | 25 | 錫 鎬 | |||
26 | 遠 錫 | 26 | 誠 成 | 26 | 泳 洙 海 | |||
27 | 鍾 | 27 | 熙 紀 | 27 | 東 植 | |||
28 | 漢 | 28 | 慶 庸 | 28 | 烈 烋 燮 | |||
29 | 秀 | 29 | 新 章 | 29 | 均 在 培 | |||
30 | 熙 | 30 | 廷 聖 | 30 | 鉉 鈺 鍾 | |||
31 | 圭 | 31 | 葵 揆 | 31 | 湛 泰 泓 | |||
32 | 鉉 | 地 支 行 列 | 32 | 學 存 厚 | 32 |
| ||
33 | 泳 | 33 | 書 肅 用 | 33 |
| |||
34 | 植 | 34 | 演 寅 璜 | 34 |
| |||
35 | 炳 | 35 | 卿 邵 迎 | 35 |
| |||
36 | 敎 | 36 | 震 振 養 | 36 |
| |||
37 | 錫 | 37 | 範 龍 虁 | 37 |
| |||
38 | 淳 | 38 | 年 南 準 | 38 |
| |||
39 | 椿 | 39 | 東 洙 來 | 39 |
| |||
40 | 煜 | 40 | 重 連 暢 | 40 |
| |||
41 |
| 41 | 弼 尊 猷 | 41 |
| |||
42 |
| 42 | 璣 羲 武 | 42 |
| |||
43 |
| 43 | 夏 遠 俊 | 43 |
|